분류 전체보기 24

[파이썬13] 리스트 함수 및 메소드

리스트.메소드 형태로 사용dir(list) append() 추가하기리스트명.append(요소)리스트 뒤에 추가 insert() 삽입하기리스트명.insert(위치, 요소)리스트 중간에 삽입 extend() 여러 요소 추가리스트명.extend([리스트])여러개를 넣을 때 사용 del  요소 제거하기del 리스트명[인덱스] pop() 요소 빼기리스트.pop(인덱스)pop은 del과 달리 꺼내서 리턴값이 생긴다. remove() 값 제거하기리스트.remove(값)가장 가까운 인덱스에서 조건 값을 제거한다 clear() 요소 모두 제거하기리스트.clear()안에 있는 모든 값 제거 sort() 리스트 정렬하기리스트.sort()  in, not in 안에 있는지 확인하기값 in 리스트 reverse() 리스트 뒤집..

[파이썬12]리스트 자료형

리스트: 변수를 여러개 담는 서랍장 같은 개념여러가지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 예시↓ list문자열정수형불 형태odd = [123, 23, "문자열", True, 21.3]대괄호 안에 자료형을 콤마로 구분하여 선언한다.이렇게 대 괄호 안에 하나의 자료형들을 요소라고 한다. 요소 : 대괄호 내부에 넣는 자료[요소, 요소, 요소, ...]리스트의 요소별 위치odd = [123, 23, "문자열", True, 21.3]일때12323"문자열"True21.31odd[0]odd[1]odd[2]odd[3]odd[4] 각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저장하고 0부터 카운트 한다.이는 문자열과 비슷하다. 이러한 괄호 안 0~4를 인덱스라고 한다 인덱스 :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도록 하는 자료구조로 색인이라고도 한다. 리스트 ..

[파이썬11] 조건문

if 조건문파이썬에서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게 하는것참 거짓에 따라 의도에 맞게 코드를 수행시킬때 사용 조건 분기 : 조건을 기반으로 실행의 흐름을 변경하는 것형태if 조건(bool자료형):    조건이 참일때 실행할 문장    조건이 참일때 실행할 문장else:    조건이 거짓일때 실행할 문장    조건이 거짓일때 실행할 문장*파이썬은 if와 else 내부의 실행할 코드를 적어주는데 이를 들여쓰기로 구분하는것은 매우 중요하다.*보통 들여쓰기는 tab을 사용하고 띄워쓰기 4칸도 가능하다. if 문만 써져있으므로 조건식이 맞으면 출력, 아니면 아무것도 수행하지 않는다.else문은 이런식으로 사용 가능하다. elif 구문조건문을 이용하여 1개가 아닌 여러 조건을 찾을때 사용할 수 있다,..

[파이썬10] 불 자료형과 논리 연산자

불 (Boolean) 자료형=불린,불리언참과 거짓만을 가지는 자료형불 자료형의미True참False거짓 비교 연산자문자나 변수를 비교하여 결과를 불 자료형으로 리턴해준다.비교 연산자설명작다>크다==같다!=다르다>=크거나 같다작거나 같다파이썬에서는 문자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이때 한글은 대소 비교시에 사전 순서로 앞에 있는 것을 작은 값으로 갖는다.범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논리 연산자연산자의미설명not아니다x가 거짓이면 참이다(불을 반대로 전환)and그리고x와 y 모두 참이어야 참(피 연산자 두개가 모두 참이어야 참)or또는x와 y 둘 중 하나만 참이어도 참(피 연산자 두 개중 하나만 참이어도 참, 둘다 거짓일시에 거짓) not 연산자x가 거짓이면 참이다(불을 반대로 전환) and 연산자x와 y 모두 참이..

[파이썬9] 문자열 관련 함수와 메소드

문자열 길이 구하기 len() a = "hobby"len(a) 문자열 개수 세기 count()문자열 안에 문자가 몇개 있는지 셀 때 사용한다.a = "hobby"a.count('b') 문자열 위치 알려주기 find()a="hobby"a.find('b')중복일땐가장 앞에 있는 문자를 찾아준다hobby01234 문자열 삽입",".join('abcd')-> abcd라는 문자열 사이사이에 ,를 넣는다 대소문자 바꾸기 upper(),lower()대문자(upper)a="hobby"a.upper() 소문자(lower)a="HOBBY"a.lower() 공백 제거하기 strip(),lstrip(),rstrip()strip() : 양쪽 공백 제거rstrip() : 오른쪽 공백 제거lstrip() : 왼쪽 공백 제거 문자열..

[파이썬8] 문자열 포매팅

문자열 포매팅 :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을 대입하는 것1. 숫자 %d2. 문자열 %s 3. 변수 포멧 코드포멧설명%s문자열%c문자1개%d정수%f부동소수%o8진수%x16진수%%Literal % (%자체) 정렬과 공백오른쪽 정렬%10s %"hi"        hi10자리를 만들고 오른쪽 정렬로 문자 입력 왼쪽 정렬%-10s %"hi"hi        10자리를 만들고 윈쪽 정렬로 문자 입력 소수점 표현%0.4f %3.1415924째 자리까지3.1415 %10.4f %3.14159210자리 만들고 우측정렬 그대로 적용    3.1415 format( ) 함수: 문자열이 가지는 함수로 중괄호{} 뒤에 마침표(.)를 찍고 format()함수를 사용한다.중괄호 개수와 함수의 괄호 안 매개변수의 개수는 같아야 한다."..

[파이썬7] 입출력 및 케스트

출력 : print()기본적인 출력 방법으로 괄호안에 출력할 것을 나열여러개도 가능(,)콤마로 구분 줄 바꾸기print() 함수는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거나 입력받은 내용이 출력완료되면 줄바꿈한다.함수 안에서 띄워쓸때는 \n을 이용한다. 입력: input()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사용한다. 프롬프트 문자열 : input()함수의 괄호안에 입력한 내용사용자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블록 : 입력을 위해 대기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프로그램을 잠시 멈추는 것을 블록이라 한다. 리턴값 : input처럼 함수의 결과로 그 자리에 값이 나오는데 이를 리턴값이라 한다.input에서 입력한 숫자를 a_input이라는 변수에 저장하는 내용이다. 입력한 숫자의 자료형 : string(문자열) 자료..

[파이썬6]객체와 변수

객체와 변수"파이썬의 모든 것을 객체로 만든다" x = 100이라는 코드가 있을때100은 객체(object)로서 메모리의 어딘가에 할당되고x는 변수로서 메모리의 어딘가에 할당되면서 또한 100을 가리키는 주소를 갖게 된다. 이런식으로 파이썬의 객체는 자료형과 값으로 생성되는데변수는 이를 가리키는 값을 가진다.이와 같이 만일 같은 값을 가리키도록 하면 같은 주소를 가지는 경우로도 만들어진다.변수변수 : 변할 수 있는 자료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 ↓ 어떤 상자에 값을 넣었다가 변수(상자): 값 저장됨↓ 필요할때 빼서 사용. 변수 사용법1. 변수를 선언한다. (파이썬은 생성하는것 자체가 사용하겠다고 선언하는것이다)2. 변수에 값을 넣는다3. 별수를 참조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연산에도 참조하여 사용할 수..

[파이썬5] 숫자 자료형

숫자 자료형의 종류정수형(int형) : 소수점 없는 숫자ex)0, 1, 3, 123, 12443int는 integer의 앞 세 글자를 이용하여 표현하는데 실수형(float형) : 소수점 있는 숫자ex)0.0, 0.12, 0.001float는 floating point의 앞으로서 부동소수점을 의미 부동 소수점: 소수점이 움직이는 숫자浮(뜰부) 動(움직일 동) : 소수점이 떠서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함63.234 = 0.63234 x 10² 으로 바꾸어 쓸 수 있음 지수 표현파이썬에서는  0.63234 x 10²을 0.63234e2, 0.63234E2로 쓴다. 숫자 연산자사칙 연산자 : + - * /연산자구문구분+숫자 + 숫자덧셈 연산자-숫자 - 숫자뺄셈 연산자*숫자 * 숫자곱셈 연산자/숫자 / 숫자..

[파이썬4]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string):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글자들이 나열된 형태를 뜻함단어든 문장이든 큰 따옴표 " " 안에 들어있는 모든 것을 문자열로 본다"a""apple""I like apple' 큰 따옴표문자열을 만들때 큰 따옴표를 이용한다. 작은 따옴표작은 따옴표도 이용 가능하다. 문자열 내부에 따옴표 넣기 이런식으로 적으면 오류가 나는데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다.")빨간색 따옴표 부분에서 끝나버리고안녕하세요는 문자열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다.  해결법 : 작은따옴표로 문자열을, 큰 따옴표로 출력을 하거나 이와 반대로 이용하면 된다.이렇게 큰 따옴표를 출력하거나작은 따옴표도 출력한다. 이스케이프 문자: \(역슬래시)를 조합하여 만든 특수한 문자.\""를 의미한다.\''를 의미한다.이러면 문자열의 따옴..